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정보

자녀가 없을 때 받을 수 있는 공제 항목

by 뻘게 2025. 8. 16.

목차

    많은 근로자가 자녀가 있어야 세금 혜택을 크게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2025년 현재 자녀가 없는 경우에도 다양한 공제와 세액감면이 가능합니다.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 때 이러한 항목을 빠짐없이 챙기면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1. 자녀 없는 근로자를 위한 대표 공제 항목

    • 근로소득공제: 소득 규모에 따라 자동 적용, 별도 신청 불필요
    • 본인 기본공제: 연 소득 100만원 이하의 부양가족이 없어도 본인에 대해 150만원 소득공제 가능
    • 표준세액공제: 특별한 세액공제 항목이 없으면 13만원 자동 적용
    • 신용카드·체크카드 사용액 공제: 총 급여의 25% 초과분에 대해 15~40% 공제율 적용

    2.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세액·소득공제

    1. 연금저축 세액공제: 연 400만원 한도, 16.5% 세액공제율(총급여 5,500만원 이하)
    2. 개인형 IRP 세액공제: 연 700만원 한도(연금저축 포함)
    3. 기부금 세액공제: 법정·지정 기부금 모두 공제 가능
    4. 의료비 세액공제: 본인·부양가족 의료비의 15% 세액공제 (부양가족 없어도 본인 의료비 가능)
    5. 보험료 세액공제: 보장성 보험료 연 100만원 한도, 12% 세액공제

    3. 2025년 신용카드 사용액 공제율

    결제 수단 공제율
    신용카드 15%
    체크카드·현금영수증 30%
    전통시장·대중교통 40%

    총 급여의 25%를 초과하는 사용금액에 대해 적용되며, 1인 가구도 동일하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절세 전략 팁

    • 연금저축·IRP를 최대 한도로 납입해 세액공제 극대화
    • 의료비·기부금 영수증은 연말정산 전 미리 준비
    • 체크카드·전통시장 사용 비중을 높여 카드 공제율 향상

    5. 마무리

    자녀가 없는 근로자라고 해서 세금 혜택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본인 공제, 소비 공제, 연금·보험 세액공제 등 다양한 항목을 활용하면 실질 세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2025년 세법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니, 국세청 공지와 최신 정보를 꼭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자녀 유무와 관계없이, 공제 항목을 꼼꼼히 챙기는 것이 절세의 시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