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정보

지자체별 청년수당 비교 (서울, 경기, 인천 등)

by 뻘게 2025. 8. 3.

목차

    청년들의 생활 안정과 구직 활동을 돕기 위한 청년수당 제도는 각 지자체별로 운영 방식, 지급 조건, 금액 등이 모두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2025년 기준 청년수당 제도를 비교 분석해 드립니다.

    1. 서울시 청년수당 (서울 청년활동지원사업)

    서울시의 대표적인 청년 지원 정책으로, 구직 중인 청년에게 매월 활동지원금을 제공합니다.

    • 지원 대상: 만 19~34세 미취업 청년 (서울 거주 6개월 이상)
    • 소득 조건: 중위소득 150% 이하
    • 지원 금액: 월 50만 원 × 최대 6개월 (총 300만 원)
    • 특징: 단순 현금 지급이 아닌, 상담·커뮤니티 활동 참여 병행
    • 신청 방법: 서울청년포털(youth.seoul.go.kr)

    2.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경기도는 만 24세 청년에게 무조건 현금성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정책을 시행 중입니다.

    • 지원 대상: 만 24세 경기도 거주 청년 (도내 3년 이상 or 합산 10년 이상)
    • 소득 조건: 무관 (전국 유일)
    • 지원 금액: 분기당 25만 원 × 연 4회 (총 연 100만 원)
    • 지급 방식: 지역화폐(모바일 앱 또는 카드)
    • 신청 시기: 1~2월, 4~5월, 7~8월, 10~11월 중 분기별 접수
    • 신청 방법: 경기도일자리재단 또는 경기청년포털

    3. 인천광역시 청년월세지원 + 청년공간수당

    인천은 월세 지원금공간활용형 수당을 결합해 청년 주거안정과 활동을 돕고 있습니다.

    • 지원 대상: 만 19~34세, 인천 거주 청년
    • 소득 조건: 중위소득 150% 이하
    • 청년월세지원: 월 20만 원 × 최대 12개월 (총 240만 원)
    • 청년공간수당: 지역 청년 공간 활동자 대상 월 10만 원 지급
    • 신청 방법: 인천시청 또는 인천청년포털

    4. 수도권 외 주요 지자체 사례

    지자체 지원 내용 금액/기간
    부산광역시 청년 디딤돌카드(구직수당) 월 30만 원 × 6개월
    대전광역시 청년 취업희망카드 총 300만 원 상당 교육비·구직지원비
    전주시 청년쉼표 프로젝트 1개월 최대 153만 원 지급

    5. 지역별 청년수당 비교 요약표

    지역 지원 유형 지원 금액 소득 조건 지급 방식
    서울 구직활동 지원금 월 50만 원 (6개월) 중위소득 150% 이하 현금 + 프로그램 참여
    경기 청년기본소득 분기당 25만 원 소득 무관 지역화폐
    인천 월세 지원 + 활동 수당 최대 240만 원 + 10만 원/월 중위소득 150% 이하 현금

    6. 신청 시 유의사항 & 팁

    • 📌 대부분 연 1~2회 모집이므로, 공고 시기를 놓치지 말고 체크하세요.
    • 📌 신청 시 중위소득 기준, 거주기간 요건, 구직 여부를 미리 확인하세요.
    • 📌 지역마다 중복 지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 기존 수당 수령 여부 확인 필요합니다.

    7. 결론: 내 지역 혜택, 제대로 알고 챙기자

    청년수당은 단순한 현금 지원을 넘어 생활 안정 + 구직 의욕 + 지역 정착까지 유도하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은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지원 대상, 금액,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내 지역 정책을 따로 확인해야 합니다.

     

    자신의 상황과 목적에 맞는 수당을 놓치지 말고 활용해 보세요. 지금 바로 지역 청년포털에 접속해 공고일정과 서류 제출기한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주요 포털 링크:
    - 서울청년포털
    - 경기청년포털 (잡아바)
    - 인천 청년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