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정보

지원금 타는 사업계획서 작성법: 정부 평가자가 좋아하는 포인트

by 뻘게 2025. 8. 10.

목차

    “사업계획서 한 장이 5,000만 원을 결정합니다.”


    정부 지원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서류는 단연 사업계획서입니다. 실제로 평가자는 사업계획서를 통해 사업자의 역량, 시장성, 실행력을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창업지원사업 심사 기준을 기반으로, 정부 평가자가 좋아하는 사업계획서 작성법을 항목별로 정리했습니다.

    ✅ STEP 1: 사업개요 – '누구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첫 페이지에서 눈에 띄어야 합니다. 문제 정의 → 해결 방안 → 핵심 가치를 3줄로 요약하세요.

    좋은 예:

    직장인 여성들의 바쁜 아침, 불균형한 식사를
    저칼로리 영양맞춤 브런치 정기배송 서비스로 해결합니다.
    앱 기반 식단 관리 콘텐츠로 지속 사용을 유도합니다.
    • ✔ 타깃 고객 명확
    •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구체적
    • ✔ 솔루션의 차별성 드러남

    ✅ STEP 2: 시장 분석 – 수치와 근거가 핵심

    “시장 크기가 큽니다”는 말보다 객관적인 수치 + 자료 출처가 평가자 신뢰를 얻습니다.

    필수 구성 요소:

    • ✔ 전체 시장 규모 (통계청, KOSIS 등 인용)
    • ✔ 연간 성장률 + 트렌드 (구글트렌드, 데이터랩 활용)
    • ✔ 타깃 고객 규모 및 접근 전략

    Tip: 그래프나 표 형태로 제시하면 평가자가 한눈에 이해하기 쉽습니다.

    ✅ STEP 3: 경쟁사 분석 – 비교표로 정리하라

    “경쟁사가 없다”는 말은 준비 부족의 신호로 해석됩니다.

     

    좋은 방식: 경쟁사 비교표 작성

    항목 경쟁사 A 우리 서비스
    주요 기능 정기배송 개인 맞춤 + 정기배송 + 식단 앱 연동
    타깃 전 연령 1인가구 여성 직장인
    차별성 저렴한 가격 맞춤형 식단 콘텐츠 + 건강 분석

    ✅ STEP 4: 수익모델 – 실제 수익 창출 방식 명확히

    “사용자 확보 후 수익화”라는 추상적 표현 대신, 실제 수익 구조를 수치 기반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 ✔ 구독형 (월 14,900원 × 고객 수)
    • ✔ 제휴 판매 수익 (10% 수수료)
    • ✔ 향후 확장 수익 (광고, 콘텐츠 판매 등)

    💡 Tip: 향후 1~2년간 매출 추정표도 첨부하면 평가자 설득력이 높아집니다.

    ✅ STEP 5: 실행 계획 – 월별 일정은 필수!

    정부 평가자가 가장 중요하게 보는 건 '실행력'입니다.


    아래와 같은 월별 실행 계획표는 가산점 요소입니다.

    • 1월: MVP 개발 완료, 시제품 테스트
    • 2월: 고객 베타 피드백 반영, 플랫폼 오픈
    • 3월: SNS 마케팅 시작, 월 매출 300만 원 목표

    필수 포함 요소: 제품 개발 / 마케팅 / 고객 확보 / 매출 / 운영

    ✅ STEP 6: 팀 구성 및 역량 – “왜 내가 이걸 할 수 있는가”

    아이템보다 평가자가 더 중요하게 보는 건 사람(창업자)입니다.

    • ✔ 관련 분야 경력, 프로젝트 경험
    • ✔ 팀원 보유 역량 (개발, 디자인, 운영 등)
    • ✔ 외부 자문단, 멘토 활용 여부

    Tip: “나 혼자 다 하겠습니다”보다 “전문가와 협업하여 실행하겠습니다”가 더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

    📎 보너스: 평가자가 좋아하는 표현

    • ✔ “시장 검증을 완료한 시제품 기반…”
    • ✔ “데이터 기반 타깃 고객 설정 및 수요 입증”
    • ✔ “단순 서비스 제공이 아닌 고객 관점 문제 해결”
    • ✔ “지속 가능성과 확장 가능성을 고려한 구조”

    마무리

    정부의 창업지원금은 단순히 아이디어가 아닌, 실행 가능한 계획과 창업자의 역량을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한 항목별 작성 전략을 참고하면 여러분의 사업계획서도 ‘지원금을 타는 계획서’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 지금 바로 초안을 점검해보세요. 과연 이 계획서가 ‘투자할 만한 사업’으로 보일 수 있는지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