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정부 복지제도를 신청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문구가 바로 "중위소득 100% 이하 대상자"입니다. 청년월세지원, 긴급복지, 자산형성지원, 교육급여 등 수많은 정책이 중위소득 기준을 바탕으로 신청 자격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중위소득이 정확히 무엇인지, 나의 소득이 해당되는지를 명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실측 확인 방법, 소득인정액 계산 팁까지 실질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소득을 낮은 순서부터 높은 순서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정부는 매년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중위소득을 새롭게 발표하며, 복지 수급 자격의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원 수별)
가구원 수 | 중위소득 100% | 중위소득 60% | 중위소득 120% |
---|---|---|---|
1인 | 2,220,437원 | 1,332,262원 | 2,664,524원 |
2인 | 3,638,574원 | 2,183,144원 | 4,366,288원 |
3인 | 4,690,987원 | 2,814,592원 | 5,629,184원 |
4인 | 5,686,452원 | 3,411,871원 | 6,823,742원 |
5인 | 6,642,095원 | 3,985,257원 | 7,970,514원 |
* 출처: 보건복지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고시
3. 내가 중위소득 기준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법
중위소득은 단순 ‘월급’ 기준이 아닌, 가구 소득인정액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 소득인정액이란?
실제 소득 + 재산 환산액을 더한 금액입니다. 즉, 단순 월급뿐만 아니라, 차량·부동산·예금 등 자산도 일정 기준으로 소득으로 환산됩니다.
- 월급, 수입 → 실소득 그대로 반영
- 예금 → 1000만 원당 월 약 4,17만 원으로 환산
- 부동산 → 전세보증금·자동차 가액 등 반영
📌 예시: 1인 가구 직장인 (월급 220만 원, 예금 1000만 원)
- 소득: 2,200,000원
- 예금 환산액: 41,700원
- 소득인정액: 약 2,241,700원
- → 중위소득 100%(2,220,437원) 초과 → 해당 안 됨
4. 소득인정액 계산 꿀팁
- 📌 예금은 1천만 원 이상일 경우만 계산에 영향
- 📌 자동차는 2,000만 원 이하는 대부분 제외되지만, 고가 차량은 반영
- 📌 세대원 수에 따라 기준이 달라지므로 ‘1인가구’인지 ‘2인가구’인지 정확히 확인
5. 중위소득 확인 가능한 사이트
6. 결론: 복지 혜택, 기준부터 제대로 확인하자
청년월세지원, 청년도약계좌, 긴급복지지원 등 대부분의 청년 복지 정책은 중위소득 기준을 기본으로 삼습니다. 따라서 내가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바로 가구 소득 + 재산을 기준으로 내 소득인정액을 계산해보고, 해당되는 복지 제도를 챙기세요. 자격만 되면 놓칠 이유가 없습니다!
📌 복지로 모의계산 바로 가기:
https://www.bokjiro.go.kr/ssis-teu/index.do
반응형
'블로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대 청년월세지원 신청 조건 및 꿀팁 (2025년 최신) (0) | 2025.08.06 |
---|---|
신혼부부 전세자금 지원금, 누구까지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최신) (0) | 2025.08.06 |
청년마이스터통장, 어떤 직업이 유리할까? (2025년 기준 완벽 해설) (0) | 2025.08.05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뭐가 더 좋을까? (0) | 2025.08.04 |
고용노동부 30대 지원 정책 총정리 (2025년 최신) (0) | 202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