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에너지 바우처는 에너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전기·가스·등유 등 난방비를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기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시행됩니다.
- 지원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중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 등
- 지원 금액: 여름(냉방) 9,500원, 겨울(난방) 최대 152,000원
- 신청 기간: 2025년 5월 ~ 12월 중 해당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
에너지 바우처는 실질적인 요금 차감 방식으로 적용되며, 신청만 하면 자동으로 요금 고지서에서 공제됩니다.
1. 전기요금 복지할인 제도
한국전력공사(한전)는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전기요금 복지할인을 제공합니다. 자동 할인 적용을 위해 한전 사이버지점 또는 전화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독립유공자, 대가족 등
- 할인 범위: 월 최대 16,000원 할인 (대가족은 최대 20,000원)
- 신청 방법: 주민센터 또는 한전 고객센터 (123)
할인은 매월 자동으로 고지서에서 차감되며, 중복 혜택도 일부 가능합니다.
2. 도시가스 요금 감면 제도
도시가스 요금도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각 지자체 조례에 따라 상이하므로 거주 지역별 확인이 필수입니다.
- 지원 대상: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국가유공자, 장애인 등
- 할인 내용: 월 기본요금 면제 또는 사용량 일부 감면
- 신청처: 거주지 관할 도시가스 회사 또는 주민센터
서울시는 2025년부터 최대 월 10,000원까지의 도시가스 요금 감면을 확대 시행하고 있습니다.
3. 여름철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
여름철(7~8월)에는 냉방 사용 증가로 인한 요금 폭탄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요금 누진제가 일시적으로 완화됩니다.
- 완화 기간: 7월 ~ 8월
- 내용: 누진 구간을 확대하여 1단계 요금 적용 구간 증가
- 적용 방식: 자동 적용 (별도 신청 불필요)
특히 4인 가구 기준 월 10~20kWh까지 추가 감면 효과가 있어 실질적인 혜택이 큽니다.
4. 고효율 가전 구매 환급 사업
에너지 효율 1등급 가전을 구매하면 일정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는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지원사업도 운영 중입니다.
-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신혼부부 등 일부 우선계층
- 지원 품목: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등
- 지원 금액: 최대 30만 원 한도
- 신청 방법: 에너지공단 공식 홈페이지
해당 제도는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되므로, 사전 확인 후 구매 및 신청이 필수입니다.
5. 에너지 진단 컨설팅 및 지원사업
지자체 및 한국에너지공단은 가정용 에너지 절약을 위한 무료 에너지 진단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전기·가스 낭비 요소를 점검하고, 절감 방안을 제시해줍니다.
- 에너지 소비패턴 분석
- 단열 개선, 조명 교체 등 절감 포인트 제안
- 노후 보일러 교체 시 일부 지원금 제공
'블로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비 할인·공제 제도 활용법 (2025년 기준) (0) | 2025.08.23 |
---|---|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및 현금화 팁 (2025년 기준) (0) | 2025.08.22 |
30대를 위한 고정지출 줄이는 7가지 팁 (0) | 2025.08.21 |
청년을 위한 저금리 정책 금융 정리 (2025년 기준) (0) | 2025.08.21 |
카드 소득공제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 (2025년 기준) (0) | 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