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정보

나는 이렇게 창업했다! 2025 정부 지원금으로 이룬 창업기

by 뻘게 2025. 7. 23.

목차

    “창업? 나랑은 상관없는 이야기일 줄 알았어요.”


    하지만 2025년, 저는 정부의 청년 창업 지원금을 활용해 진짜 제 브랜드를 만들고,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는 자영업자가 되었습니다.

     

    이 글은 저처럼 망설이고 있는 예비 창업자들을 위해 쓰는 진짜 창업 이야기입니다. 지원금 신청부터 선정, 창업까지의 여정을 솔직하게 공유합니다.

    📍 STEP 1. 퇴사를 결심하고, 창업을 꿈꾸다

    저는 영상 콘텐츠 제작 일을 하던 30살 프리랜서였습니다. 기술은 있었지만, 수입이 불안정했고, 제 이름으로 된 브랜드를 운영하고 싶다는 꿈이 있었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K-Startup 포털에서 예비창업패키지 청년트랙 공고를 보게 되었죠.

    “정부에서 최대 1억 원까지 창업자금을 지원해준다고?”

     

    처음엔 믿기 어려웠지만, 공고문을 꼼꼼히 읽고 나니 사업자등록 전의 예비창업자도 가능하다는 사실에 바로 도전하기로 했습니다.

    📍 STEP 2. 사업계획서, 처음 써봤습니다

    저는 영상 기반 지역 소상공인 브랜딩 플랫폼을 아이템으로 잡았습니다. 핵심은 소상공인의 브랜딩을 돕고, 그 과정을 쇼츠 콘텐츠로 보여주는 서비스였습니다.

     

    사업계획서 작성 시 중점적으로 넣은 내용:

    • ✔ 문제 정의: 지역 소상공인의 낮은 디지털 접근성
    • ✔ 솔루션: 영상 브랜딩 콘텐츠 제작 + 지역 기반 플랫폼화
    • ✔ 수익 모델: B2B 콘텐츠 제작 + 광고 수익
    • ✔ 시장 분석: 유사 서비스 부족, 지역 밀착 수요 존재

    처음이라 어려웠지만, 창업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무료 멘토링을 받고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 STEP 3. 선정! 그리고 창업 준비 시작

    서면평가 →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 통보를 받았을 때, 손이 떨렸습니다. 받은 지원금은 총 5,000만 원(정부지원 70%, 자부담 30%)이었고, 아래와 같이 활용했습니다.

    항목 사용 금액 용도
    사무실 임대 및 인테리어 약 1,500만 원 영상 촬영 스튜디오 + 미팅룸
    장비 구매 1,000만 원 카메라, 조명, 편집용 PC 등
    시제품 제작 700만 원 플랫폼 웹페이지 MVP 개발
    마케팅 300만 원 SNS 광고, 포트폴리오 제작
    컨설팅 및 세무 대행 500만 원 초기 정산 및 정부지원금 관리

    📍 STEP 4. 지금은 어떤 모습일까?

    2025년 7월 현재, 제 브랜드는 지역 내 50여 곳의 점포와 협업을 진행했고, SNS에서는 누적 5만 팔로워를 넘겼습니다. 아직 크진 않지만, ‘혼자 일하던 프리랜서’에서 ‘브랜드 대표’가 된 것만으로도 큰 변화입니다.

    📍 예비 창업자분들께 드리는 조언

    • ✔ 아이템이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의지를 보여주세요.
    • ✔ 사업계획서는 누구나 처음입니다. 자료 수집 + 멘토링 활용이 핵심입니다.
    • ✔ 정부 지원금은 책임감 있는 자금입니다. 목적 외 사용은 절대 금지!
    • 공고 타이밍을 놓치지 마세요. 모집 시기를 미리 캘린더에 등록해두세요.

    마무리

    정부의 청년 창업 지원금은 단순한 돈이 아니라, 도전할 기회를 주는 제도입니다. 지금 망설이고 있는 당신에게도 충분히 기회가 있고, “나도 해볼 수 있다”는 자신감만 있으면 출발선에 설 수 있습니다.

     

    저는 그렇게 시작했고, 지금도 계속 성장 중입니다.


    여러분의 창업 이야기도 곧 시작되길 응원합니다.